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0

강아지 입양비 안녕하세요. 강아지 입양비, 반려동물 입양비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분양비 평균 28만 2천 원 전문 브리더로 인한 분양비 5만 6천원 증가 ※브리더는 외래어 입니다. 외국에서 들어와 한국어에 동화되어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여러가지 의미가 있지만 동물에 사용되는 단어로는 사육사(breeder)입니다. 단순 이윤 추구가 아니라 건강한 반려동물을 탄생시키는 목적에 의의를 두고 전문적으로 종을 번식시키는 일입니다. 오늘 포스팅글은 반려동물 입양비(분양비)에 관한 주제입니다. 반려인 입장에서 반려동물 생애 비용의 첫시작은 입양비(분양비)일 것이다. 반려동물 입양할 때 지출하는 분양비는 평균28만 2천원으로 2021년(23만 4천 원)에 비해 5만 6천원이 증가했습니다. 펜데믹(코로나) 시기에 반려동물을.. 반려동물 2023. 6. 18.
펫보험 비교/보장내용/꿀팁 각 펫보험 회사 비교와 보장내용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펫보험이란? 반려동물이 아프거나 다쳐서 동물병원에 가게 된다면 그때 발생한 의료비용을 보장비율 에 따라서 보험회사가 지급하는 사람의 실비와 같은 개념입니다. ※맨 아래 보험료 조절하는 방법이 짧게 예시로 소개됩니다.※ 요즘 반려동물 시장이 커지면서 반려동물 서비스 분야인 "펫 장례"와 "펫 보험"이 활성화하기 위해 각 당국에서 추진 중에 있다고 하는데요. 마치 사람도 처음 보험이 출시되었을 때 굉장히 낯설고 부정적인 성격이 강했지만 시간이 흐르는 과정과 현재에서 보는 관점은 정반대인 성격이 되어 이제 보험은 없어서는 안 될 금융상품 중 하나가 되었어요.( 가구당 사람보험 가입율 98~99%) 각 보험회사마다 조금씩 보장내용이 다르지.. 펫 보험 정보 2023. 6. 17.
우리 집 강아지가 동물병원을 자주 간다면? 우리 집 강아지가 동물병원을 자주 간다면? 우리집 강아지는 더 이상 동물이 아닙니다. 국내도 타 국가들과 같이 동물에 대한 인식이 바뀌면서 이제는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 되었습니다. 그런 우리 집 강아지가 아프거나 다치기라도 한다면,,, 상상하기도 싫지만 평생을 함께하려는 강아지를 위해 만일의 대비책 정도는 마련하는 게 강아지를 키우는 사람의 도리 아닐까요? 대비책 마련 어떤 것들이 있을까? 1. 펫적금 2. 펫보험 ▶펫적금 VS 펫보험 펫적금의 정의-반려동물 양육 비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돈을 모아둠 펫보험의 정의-사람의 실손개념으로 아프거나 다칠때를 대비하여 들어둠 ▶펫 적금 VS 펫 보험 장단점 종류 장점 단점 펫 적금 반려동물이 병원에 가지않으면 돈을 아낄 수 있다. 병원가면 전부 내가 부담해.. 반려동물 2023. 6. 17.
애완동물에서 반려동물로 우선 애완동물과 반려동물의 사전적 의미부터 알아보도록 합시다! 애완동물 -인간이 주로'즐거움'을 누리기 위한 대상으로 사육하는 동물 (사랑할)애+(희롱할)완=인간이 사랑하고 가지고 노는 동물 반려동물 -사람이 정서적으로 의지하고자 가까이 두고 기르는 동물 (짝)반+(짝)려=짝이되는 동무 애완동물에서 반려동물로 ‘반려동물 양육 인구수가 2023년 기준 1500만명(한국 펫 사료협회)을 돌파했다.’고 한다. 갑작스럽게 반려동물이 늘어난 이유가 뭘까? 살펴보니 와 가 가장 큰 요인이라고 한다. 더 나아가 시대적 문화와 세대 갈등이 한몫을 차지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불과 반려동물 문화가 자리 잡기까지 동물을 인간의 소유물로 생각했고 인간 중심적인 단어를 사용했으며 인간에게 즐거움을 주는 수단에 불과했다. 의.. 반려동물 2023.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