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양이 펫보험 가입 후 확인해야 할 4가지

펫매니저 발행일 : 2023-11-08

펫보험에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가 반려동물 양육인구 수가 늘어나고 더불어 반려동물이라는 타이틀로 하여금 평생을 지켜주고 함께해야 하는 '반려자'로 인식이 전환된 부분도 한몫(동물의료비용)을 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 비중 2번째로 차지하고 있는 고양이의 펫보험 가입 후 확인해야 할 4가지 사항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1. 20년만기 20년납 & 5년 갱신 확인!

 

납기-내가 언제까지 보험료를 납부할지 정하는 기간

만기-보험의 보장기간이 끝나는 시점

반려동물은 최대 20세까지 사는 것으로 지정하고 보험종료기간을 20세로 지정 (사람 5살≒강아지 1살)

20년만기로 설정하면 20세까지 보험을 가입시켜 주고 보장을 책임짐

<갱신 3년과  5년의 차이>

펫보험 가입을 위해 반려동물 정보를 입력(자기 부담금과 보장비율 선택)하면 월보험료가 나옵니다. 나온 월보험료를 갱신 기간만큼 변동을 하지 않는다.

예) 월 보험료 3만 원 /갱신 3년 선택: 3년 동안 월 보험료 3만 원→ 3년 이후 보험료 변동될 수 있음

2. 보장비율 & 자기 부담금 확인!

우리 아이가 미래에 닥칠 수 있는 질병과 상해에 대한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펫보험을 선택한 만큼 보장비율과 자기 부담금을 어떻게 설정할지는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 보장비율 자가진단 체크 ✔️

□우리아이의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하기
-1년에 동물병원을 몇번 갔지?
-동물병원비용이 어느정도 지출되었지?

□  우리아이 미래 질병 및 상해질환 준비
-질병은 우리아이의 품종마다, 나이대 별로 찾아오는 고질적 미래 질환을 빠르게 확인하고 준비할 필요가 있는가?(예,노견에서 많이 발생하는 고질적 질병)

□  우리아이의 야외활동 빈도 수 확인
-상해는 평생을 조심해야 합니다. (예고없이 찾아오기 때문입니다.)

□  취약한 질병 및 질환이 있는지 확인하기
-우리아이가 취약한 질병이 무엇인지 잘 확인하고 준비하는가?(예, 슬개골 탈구, 장염, 암 기타 질환 등)

4개 이상: 100%-(월 보험료를 걱정 없이 납부할 수 있다면 수술, 입원, 통원/ 모든 질환에 대한 걱정 NO)

3개 이상 포함:90%-(보험금 청구하는 확률이 높기 때문에 반려인에게 가장 유리할 거예요.)

2개 이상 :70%, 80% -(반려인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비율로써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의료비용들을 걱정 없이 방어할 수 있어요.)

0개 이상 1개 이하 :50% -(혹시 모를 큰 동물병원비용에 대한 준비만 해도 큰 어려움이 없을 거예요.)

*펫전문설계사인 저의 의견입니다.

3. 보장종료 시간  확인!

치료비용은 대부분 펫보험 회사에서 20세까지 보장을 합니다.

장례지원비 또는 사망위로금이라고 불리는 이 담보는 15세까지 보장하는 회사 12세까지 보장하는 회사 등 다르기 때문에 확인은 필수!!

4. 우리 아이 정보 확인!

보험증권에 기재된 반려동물 정보가 다르게 입력되었다면 펫보험 청구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전에 꼼꼼히 확인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댓글